본문 바로가기
재정 & 경제 인사이트/정책 & 지원 정보

소득이 높은데도 부자가 되기 힘든 이유 💸

by Opal Road 2025. 10. 3.
728x90
반응형

 

 

우리는 흔히 높은 소득을 부와 동일시합니다. 하지만 최근 고소득자임에도 부자가 되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과 배경을 살펴보겠습니다.

HENRY, 고소득 빈곤층의 등장 🤔

HENRY는 'High Earners, Not Rich Yet'의 약자로, '높은 소득에도 불구하고 부자가 아닌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주로 치열한 경쟁을 뚫고 좋은 직장에 입사해 높은 연봉을 받는 MZ세대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이들이 부자가 되기 힘든 핵심 이유는 상속 자산의 부재입니다.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자산이 없는 경우, 코로나19 이후 급등한 부동산 가격이 자산 축적의 가장 큰 장벽이 됩니다. 소득은 증가하지만, 자산 가격 상승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는 것입니다.

프랑스 중산층과의 유사성 🇫🇷

최근 발표된 프랑스의 긴축 예산안은 이와 유사한 문제를 드러냅니다. 프랑스의 고소득 중산층 노동자들은 "열심히 일하는데 세금은 늘고, 복지 혜택은 체감되지 않는다"며 불만을 표출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HENRY들도 비슷한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높은 소득세율, 치솟는 물가, 급등하는 부동산 가격으로 인해 실질적인 자산 축적이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양국 모두 "부자의 기준이 무엇인가?"에 대한 회의감이 커지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자산 격차는 왜 벌어지는가 🏠

소득이 증가해도 부자가 되기 어려운 이유는 명확합니다. 주택 가격과 물가 상승 속도가 소득 증가율을 압도하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HENRY들은 주택 구매를 위해 대출을 받고, 월급의 상당 부분을 모기지 상환과 재산세에 사용합니다. 아무리 높은 연봉을 받아도 고정 지출이 크다면 자산 축적은 요원한 일이 됩니다. 이것이 바로 '열심히 일해도 부자가 되기 힘든 시대'의 현실입니다.

한국 청년층의 현실 😔

한국의 30~40대도 같은 고민을 안고 있습니다. 억대 연봉을 받으면서도 부동산 등 실물 자산 보유는 적어 은퇴 후 삶에 대한 불안감이 큽니다.

특히 2030세대는 천정부지로 치솟는 서울 아파트 가격을 '넘을 수 없는 벽'으로 느낍니다. 사회 진출 시기에 따라 자산 형성의 기회가 극명하게 갈리면서, 세대 내 불평등까지 심화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나아갈 방향 💡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정책적 차원에서는 고소득자와 저소득자 간 격차를 완화하고, 실질적인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제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세금이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복지 혜택이 실제로 체감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개인적 차원에서는 소득만이 아닌 자산 형성 전략을 고민해야 합니다. 현명한 투자와 지출 관리를 통해 자산을 점진적으로 늘려가는 계획이 중요합니다.

결국 우리가 지향해야 할 것은 소득과 자산 모두에서 합리적인 기회가 주어지는 사회입니다. 모두가 노력한 만큼 정당한 보상을 받고, 더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것이 우리 시대의 과제입니다. 💪

728x90
반응형